본문 바로가기
미국주식투자

'22.2.10(목) S&P500, 나스닥100 지수 및 주요 종목 고점대비 하락폭

by @미국주식 2022. 2. 11.

○ 지수 ETF 및 S&P500 상위종목 주가

* S&P500 추종 종목 SPY, VOO, IVV 중 VOO 주가

* NASDAQ100 추종 종목 QQQ 및 x2레버리지, x3레버리지 종목 추가

* 개별주는 S&P500 지수 ETF의 상위 50 종목이며, 일부 업데이트가 안되어있을 수 있음

* 미국 시간 기준일의 날짜로 함.

* S&P500 전고점 대비 -6.5%, NASDAQ100 전고점 대비 -12.3%

 

지수추종 S&P500, 나스닥100 지수 및 주요 ETF/상위 종목 주가정보입니다

 

 

 

여전히 단기 방향성을 알 수 없는 증시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하락장보다 더욱 어렵고 지겨운 장이 되겠습니다. 

 

아예 하방이 무너지면 차라리 그냥 강한 매수 포지션으로 해서, 단기간에 올라와 주면 됩니다만,

 

변동이 극심한 횡보장이 2개월 이상 길어지고 있네요.

 

 

어제는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가 있었습니다.

 

시장에서 가장 민감하게 바라보는 지표인데, 안타깝게도 7.5%라는 사상 최대의 실적을 보여줬습니다. 

 

참고로 지난달 발표된 수치가 7.0%로 40년 만의 사상 최대치였습니다.

 

2022.02.07 - [주린이 코너/주식 용어 공부] - CPI (소비자 물가지수), 인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CPI (소비자 물가지수), 인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오늘은 CPI와 인플레이션이라는 개념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순서 1) 소비자 물가지수란 무엇인가? 2) 인플레이션 or 물가 상승의 의미는? 3)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원인 4) 인플레이션에

yesman2.tistory.com

 

알고 계시듯 소비자물가지수는 현시점에서는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는 지표입니다.

 

지난주 실업률은 양호하게 나온 반면 소비자 물가지수는 너무 높게 나와서 금리 인상 및 긴축을 우려하는 심리가 더욱 강해질 수 있는 조건이 조성되었네요.

 

2022.01.28 - [미국 주식투자] - Initial Jobless Claims (최초 실업수당 청구)

 

Initial Jobless Claims (최초 실업수당청구)

Inital Jobless Claims 이란? 직역하자면 실업수당 청구 라는 의미이다. 미국에서는 실업시 실업보험의 형태로 수당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수당 청구 건수를 집계하여 미국 노동부에서 매주

yesman2.tistory.com

 

 

이러한 실적 발표 후 장 초반에 보합하는 듯하더니 장 후반으로 갈수록 고꾸라 졌습니다.

 

지금은, 사견입니다만 긴축의 우려 심리와 기업의 실적 간에 팽팽한 줄다리기를 하는 느낌의 시장이네요.

 

 

 

미국 10년 물 국채 금리 2% 돌파.

 

물가가 40년 만에 가장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는 것을 재차 확인한 것은, 모든 투자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인플레이션 우려를 해소해주지 못한 부분이 되겠습니다. 

 

7.5%가 되었을 때 투자가가 생각할 수 있는 기점이 될 만한 포인트는, 연준이 3월 FOMC 때 어떤 대책으로 진행할 것이냐의 문제가 되겠습니다.

 

테이퍼링은 이미 기정 사실화된 것이기에, 양적완화의 시대는 끝나게 될 텐데요, 긴축은 또 어떤 식으로 진행될 것이냐의 문제가 되는 것이지요.

 

그저께, 연준 고위인사의 의견에 따르면 3월에 0.5% 까지의 한 번의 금리인상은 할 이유가 없다 라는 것이었습니다만, 단 하루 만에 소비자 물가지수가 부담으로 다가오면서 0.25%가 아닌 0.5%의 공포가 다시 자리 잡고 있다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와 더불어 국채 금리 2% 돌파의 의미는, 테이퍼링 시는 시장의 채권을 사들였다는 의미라면, 그 반대의 의미로 시장에 채권을 풀겠다는 의미로 해석이 되겠습니다. 

 

즉 대차대조표 축소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 의미가 국채 금리에 그대로 녹아나고 있습니다. 

 

아마도 3월 FOMC 발표까지는 횡보장이 꽤나 이어질 수도 있겠습니다.

 

모두들 멘털을 유지하고, 저가 매수를 지속해나가는 전략이 좋아 보인다는 의견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