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주식투자131 단기투자(Trading), 장기투자(Buy and Hold) 전략에 대한 생각 단기투자 장기투자 무엇이 좋을까? 에 대한 필자의 짧은 의견을 드려봅니다. 단기 투자(Trading)는 마켓타이밍의 예측이 가능한 투자법이라고 잠시 정의를 해보고, 장기 투자(Buy and Hold)는 마켓타이밍의 예측이 불가능한 투자법이라고 잠시 정의를 해보겠습니다. 마켓타이밍이 예측이 가능하다는 전제를 해보면, 단기투자를 할 시 아래 내용을 상정할 수 있다. 차트의 상승 하락의 내용을 옆으로 쭉 펼쳐서 싹싹 발려 먹을 수 있다. 마켓 타이밍 예측을 통해서 매도/매수를 하면 되므로 상승/하락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경제 정보 및 차트를 보면 내가 매도/매수를 할 지점이 나온다. Buy and Hold 전략을 상대적으로 열 위 한 전략이 된다. 전문 트레이더 및 전업투자자에게 성공적인 전략일 수도 있다... 2022. 2. 26. 워런 버핏의 주주서한 중 와 닿는 글. 제가 제일 좋아하는 투자자가 워런 버핏과 벤자민 그레이엄입니다. 가장 와닿는 투자 철학을 전해주기 때문입니다. 최근에 얻은 내용 중 느낀 바가 컸던 글을 공유해봅니다. 아래 글은 최근 변동성 심한 하락장에 좋은 글귀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본인이 단기 투자자인지, 장기투자자인지 확실히 곱씹어보시기 바랍니다. 간단한 퀴즈를 내겠습니다. 당신은 평생 햄버거를 먹을 생각이고 소를 키우지 않는다면, 쇠고기 값이 올라가기를 바랍니까, 내려가기를 바랍니까? 마찬가지로, 당신은 간혹 차를 사야 하는데 자동차 제조업자가 아니라면, 자동차 가격이 올라가기를 바랍니까, 내려가기를 바랍니까? 마지막 퀴즈입니다. 당신이 앞으로 5년 동안 주식을 사 모음 다면 이 기간에 주식 시장이 올라가기를 바랍니까, 내려가기를 원합니까? .. 2022. 2. 25. S&P500 및 NASDAQ100 전고점 대비 하락률 오랜만에, 전고점 대비 얼마나 하락이 되었는지를 확인해 보니 상당히 많이 빠지고 있네요. S&P500 전고점 대비 -12.3%, 나스닥 100 전고점 대비 -19.4% 어느새 나스닥 100은 전고점 대비 -20% 육박하고 있고, S&P500 지수도 고점 대비 -10% 이상이 빠지고 있네요. 인플레이션 및 긴축 이야기가 나왔을 때는 필수소비재 및 금융주, 기타 방어주 등으로 나스닥 100 대비해서 강하게 탱킹 하는 것 같더니, 우크라이나 전쟁 건으로 인한 하락에는 나스닥과 함께 반응하여 하락하는 모습입니다. 어쨌든 포스팅한 이유는 나스닥 100이 전고점 대비 -19.4%가 빠진 것을 봐서입니다. -20%가 빠지면 Bear Market으로 진입하는 신호라는 의견을 내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그건 편의상 .. 2022. 2. 24. 성장주는 여전히 싸지 않다, JP모건의 경고 우크라이나-러시아 사태로 투자자들의 심리가 축소된 가운데, 기사가 하나 나왔네요. 대략적인 내용을 보면 내용인즉슨, 많이 하락이 되었으나, 성장주가 여전히 싸지 않다는 JP모건의 경고입니다. 본인들이 싼지 안 싼 지 어떻게 판단을 하나요? 시장에서 판단을 하지요. 본인들이 PER의 정확한 값을 구해낼 수 있을까요? 따라서 무시할만한 언급입니다. 얼마 정도 가야지 싼 지 언급도 못 하면서 말이지요. 투자자들이 내심 힘든 하루하루를 보내는 시기에, 참 얄밉습니다. JP모건의 애널리스트들은 평균적으로 아직 수익조차 내지 못하는 기술 기업이 작년 9월 경 정점 이후 30% 가락 하락한 반면에, 뱅킹 앱과 도구에 중점을 둔 '핀테크' 기업은 40% 하락했다고 추정한다. JP모건의 애널리스트는 고객들에게 보낸 메모.. 2022. 2. 23.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