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리2

최초 $20,000 거치, $2,500/월 적립식 장기 투자 시뮬레이션 ★ 2 종목 포트폴리오 장기투자 시뮬레이션 ★ * 시뮬레이션 조건 ○ 단, 2개의 종목 ○ 금융자산 1 : S&P500 ETF, 금융자산 2 : NASDAQ100 ETF 3 배수 ○ 월 $2500 투입 : 20대 1로 분배하여, 적립식 투자. * 레버리지 100달러는 매월 정말 뭔가 아낀 것으로 투자하면 좀 더 계좌를 신경 안 쓸 것 같기도 하네요. 없어져도 그만이라는 마인드 탑재 가능. ○ 수익률 : 금융자산 1 9.5%, 금융자산 2 20%로 임의 설정 * S&P500의 연평균 수익률 : 9.5% VOO의 수익률은 과거 S&P500의 연평균 수익률을 차용한 것이며, 20%의 수익률로 매우 보수적으로 입력한 조건입니다. 중간에 수익이 아무리 크게 나도, 매도는 절대 없다는 가정이고, 투자 말기에 MDD.. 2022. 1. 27.
ETF로 천천히 부를 불려나가 봅시다. 안녕하세요. ETF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싶어, ETF 관련 카테고리를 하나 만들어봅니다. 저는 일반투자자로서, 정확한 개별종목 분석은 한계가 있다고 믿는 투자자입니다. 주가는 통상 주당순이익(EPS) x 주가 수익비율(PER)이라는 값으로 계산될 수 있지요. 그런데 말이죠. EPS는 기업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을 발행주 수로 나눠주면 나오는 상수 값 입니다만, PER 이놈은 시시각각 변합니다. 뭐 금리가 내린다거나, 미래사업성이 추가로 늘어나거나, Cost 절감이 있거나 그러면 그러한 항목들이 반영이 되어 PER이 상승하지요. 흔히 멀티플이 상승한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런데 말이죠. 적정 가격은 사실 일반투자자는 정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저 역시, 수많은 방법으로 시도를 해보았으나, 안 맞는 게 다수였.. 2022. 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