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주식투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분쟁, 그리고 미국

by @미국주식 2022. 1. 28.

많은 매체에서 언급되 듯, 현재 우크라이나 -러시아 국경근처는 러시아 침공에 대한 긴장감이 상당히 고조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북으로는 벨라루스와 국경을 접하고 있고, 동으로는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최근에 러시아는 몇 주에 걸쳐서 우크라이나 국경과 크림반도 병합지역에 10만명 이상의 러시아군을 집결시키고 있습니다. * 크림반도는 과거, 러시아가 병합하여 지배를 하고 있으나, 국제사회는 이를 인정하지는 않는 상황입니다. 

 

우크라이나는 과거 소련(소비엣 연방) 이후 분리된 국가입니다만, 쉽게 이해하고 있는 중국과 대만의 관계와 비슷하다고 해야할까요. 하나의 중국을 이야기 하듯, 하나의 러시아를 이야기 하는 곳입니다. 

 

몇주간 러시아는 침략계획을 부인해오고 방어적인 입장으로 이야기 하고 있으나, 러시아의 입장에서는 NATO(북대서양조약기구)의 동진을 경고하고 있는 상황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이렇게 오래 갈등이 진행되고 있는 핵심은 이렇습니다. 

 

지금의 우크라이나, 러시아, 그리고 국경을 접하고 있는 벨로루시는 거의 1,200년전에 동유럽의 넓은 영역을 포함하는 중세 강대국인 키예프 루스의 드네프르 강 유역에서 시작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인과 우크라이나인은 역사적, 언어적, 그리고 정치적으로 마저 갈라서게 됩니다. 

 

푸틴은, 러시아인과 우크라이나인이 이웃한 벨로루시를 포함하는 러시아 문명의 일부라는 반복 주장을 해옵니다. 우크라인들은 당연히 이 주장에 대해서 인정하지 않습니다. 

 

이런점에서 중국과 대만의 관계와 매우 흡사합니다.

 

우크라이나는 친러시아 계열과 이를 반대하는 계열로 크게 나뉘어지는데요,  21세기에 들어 두번의 큰 혁명을 겪었 두번 모두 러시아를 거부하고 유럽 연합과 NATO에 가입하는 길로 나아갑니다. 

 

이게 러시아 입장에서는 우크라이나가 NATO에 정식가입을 하게 되면, 러시아 국경과 맞닿은 부분에 NATO가 있다는 개념이 되는데요 이 부분에 대해서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 됩니다. 

 

다들 알고 계시듯 냉전시기의 구)소련 / 미국은 지정학적으로 태평양이라는 물리적인 환경으로 완전히 분리가 되어있습니다만, 이 우크라이나 사태는 그렇지 않지요. 전면전이 일어나면 국경에서 지상군이 바로 교전할 수 있는  지정학적 위치입니다. 굉장히 민감하게 보는 이유가 그것입니다. 

 

물론, 모스크바하고도 지리적으로도 멀지 않은 위치라는 것이지요.

민주주의 노선과 공산주의 노선이 접한다는 측면에서는 꼭 한국의 군사 분계선과도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을 해봅니다.

 

우크라이나는 유럽에서 손 꼽히는 곡창지대이며 엄청난 생산량을 자랑하고 있기도 합니다.

 

심지어 러시아는 러시아 경제 블록에 우크라이나가 참여해주길 간곡히 원했던 시절도 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동유럽권 국가에는 미치지 못합니다만, 농업과 철강이 발달해 있고, 우크라이나의 비옥한 곡창지대로 인해서 유럽의 빵공장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이런 우크라이나의 긴장감은 딱 봐도, 전세계의 상품가격에도 직접적인 타격을 미칠 수 있는 부분이 되겠습니다.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있는 지금, 왜 하필 지금? 이라는 부분을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푸틴의 지지율은 과거 크림반도 병합시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90% 수준에 달했습니다. 

 

현재 러시아는 백신접종을 거부하는 분위기가 있고, COVID-19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에도 봉착해 있습니다. 이로 인해 푸틴의 지지율을 연일 하락을 하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크림 반도 병합을 통해서, 경제적 어려움조차도 민족주의 결집에는 미치지 못 한다는 강력한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사태를 통해서 러시아 민족주의 결집을 모색 하면서 현재의 어려움을 돌파하려는 시도가 아닐까 생각을 해 봅니다. 

 

이런 긴장감으로 미국증시에 까지 반영이 되고 있으나, 정치적인 소재로 시장이 무너지지는 않습니다. 언제나 그렇든 흔들리면 매수 찬스라고 항상 생각하고 있습니다.

 

 

 

 

 

 

 

 

댓글